분류 전체보기 427

js_string , 문자열 제어 함수, 프로토 타입 모음

현재 구현된건 1. 숫자에 천단위 ,표 붙이기(프로토타입,함수) 2. 숫자를 한글로 출력(프로토타입,함수 ) 3. 문자열에서 앞뒤(앞,뒤) 공백제거 (프로토타입,함수) 4. 문자열에서 문자열 제한(영어만, 또는 영어와 한글만 등등) ---------=----------- 그냥 안 올릴까.. 하다가 홈피 이사후 방문자수가 푸욱~~ 줄어서... 낚씨용?으로. 사용할 때 꼭 .JS파일 안을 열어보세요. 그안에 대부분의 설명이 다 되어있습니다 출처 : http://www.mins01.com/20070305/m_board/tech.php?b_id=tech&type=read&b_idx=411&page=1&period=365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한 md4,md5,sha-1

md4 관련 소스 http://pajhome.org.uk/crypt/md5/md4src.html md4 관련 다운로드 http://pajhome.org.uk/crypt/md5/md4.js md5 관련 소스 http://pajhome.org.uk/crypt/md5/md5src.html md5 관련 다운로드 http://pajhome.org.uk/crypt/md5/md5.js SHA-1 관련 소스 http://pajhome.org.uk/crypt/md5/sha1src.html SHA-1 관련 다운로드 http://pajhome.org.uk/crypt/md5/sha1.js 출처 : http://www.phpschool.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tipntech&wr_id..

MS 실버라이트 사례들

MS 실버라이트 사례들 1. MNet의 TV 2.0 - MS Korea Remix 2. 항공권 예약 시스템 - MS Tech ED 3. 웹 동영상 - MS Tech ED MS의 대반격, 실버라이트 속어로 은광여고라 불리기도 하는 실버라이트는 차세대 웹 기술로 Adobe의 Flash에 대항마의 자격을 갖춘 RIA(Rich Interface Application)의 일종이다. 플래시는 최근 동영상 사이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으로 WWW 브라우저만으로 시연하기 어려운 인터랙티브하고 비주얼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다보니 광고 배너와 게임 그리고 동영상 등은 물론 부분적인 WWW 서비스를 플래시로 구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간 이 같은 WWW 브라우저 내의 RIA 시장을 ..

Ajax 디버깅

디버깅 안하기, 혹은 디버거 안쓰기 강력한 디버깅 툴을 찾기 전에, 디버깅 자체를 줄이는 방법이나 디버거 없이도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례로 Javascript TDD를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피드백 주기를 짧게 줄이고,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Clean Code That Works)하면 디버깅을 거의 안하게 되거나, 디버깅을 하더라도 특별한 툴의 도움 없이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디버깅 도구들 window.alert 가장 직관적이고 가장 널리 쓰이며 사용하기 쉬운 디버깅 도구 입니다. "잘못된 인자입니다. 0번째 줄"과 같은 애매한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에 수동 Binary Search를 통해 정확한 에러 위치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 ..

Web 2.0 Machine is using us 한국자막

지난 웹앱스콘 인트로에 보여 드렸던 Web 2.0 Machine is using us의 한국어 자막 버전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동영상으로 다시 제공 합니다. 본 동영상은 캔사스 주립대의 디지털 인류학 연구실에서 만든 동영상으로 디지털 텍스트의 멋진 진화와 사람을 연결하는 웹2.0의 본질에 대해 잘 이야기 해주는 동영상입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이 동영상을 보셨을 거구요. 한국어 자막은 약간 의역을 통해 만든 것입니다. 출처 : 챠니

애플닷컴의 제품 슬라이더 자바스크립트 분석

iTunes Gift Cards iTunes Download iTunes 7 iPod U2 iPod iPod nano iPod nano Product (RED) iPod shuffle Apple TV iPod Hi-Fi Nike + iPod iPod Socks Leather Case Nano Armband AV Connection Kit iPod nano Dock Universal Dock Camera Connector Radio Remote In-Ear Headphones USB Power Adapter iTunes Products Accessories 출처 : 파이어준 애플닷컴의 iTunes페이지에 자바스크립트로 구현 된 제품 슬라이더가 심상치 않아 보여서 파 보았다. 이 제품 슬라이더는 Protot..

팀장 딜레마…에 붙여

많은 회사들이 개발자들의 경력 관리에 있어서 딜레마에 빠집니다. Jason님의 팀장 딜레마를 보면 모험과 개선을 위한 일과 안정적인 일 사이에 인력을 어떻게 배치 할지 어떤 사람을 들어 써야 할지 참 애매할 때가 많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경우죠. - 팀에서 개발 잘하는 사람이 팀장을 합니다. 그렇게 되면 개발을 제일 잘하는 사람은 없어집니다. - 팀이나 회사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데, 제일 일 잘하는 사람은 기존(안정적인) 일에서 쉽게 뺄 수가 없습니다. 혁신은 그만큼 리스크가 따르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일도 챙겨야 하기 때문이죠. - 제일 일 잘하는 사람이 개선도 그만큼 잘 할텐데, 그걸 알면서도 쉽사리 결정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집니다. 팀장 딜레마 중에서 제 주변에서도 이런 ..

백화점 쇼핑 9단 되기 '10題'

광고 [EBN산업뉴스 유용무 기자] "백화점 직원들끼리 통하는 그들만의 용어를 알면 '쇼핑 9단'이 될 수 있다(?)" 24일 현대백화점 인재개발원은 최근 유통현장 용어, 패션용어, 인터넷 신조어 등 직원들이 고객 커뮤니케이션 능력 배양, 직원역량 향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1만2천단어를 정리해 사내 교육 및 회람용 용어사전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다음은 현대백화점이 밝힌 고객이 알아두면 도움되는 '쇼핑 9단용 실용 멘트 10가지'다. ①문제해결 시는 "FM 어디있나요" 라디오 채널이나 주파수를 연상시키는 이 단어는 플로어 매니져(Floor Manager)의 약어로 백화점 특정 층에서 상품·매장·인원을 총괄하는 과·차장급 간부를 말한다. 제품, 서비스에 불만이 있거나 곤란한 사정이 생겼을 때 다짜고짜 ..

낙서장 2007.06.25

열정 - Bill Gates, Steve Jobs의 조언

보기 어려운 대담이 이루어졌다. 빌 게이츠와 스티브 잡스가 D5-All Things Digital(http://d5.allthingsd.com/)에서 대담을 하였는데, 개인용 컴퓨터 산업을 창조한 이노베이터들의 진솔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다. 위의 동영상은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질의 응답 시간이다. 어느 벤처기업인이 조언을 구하자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나 공통적으로, 열정과 훌륭한 사람들이 함께 일하게 하는 것이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 열정에 대하여 얘기하면서 둘 다 돈이 첫번째는 아니다라는 얘기를 하였는데, 스티브의 설명이 정곡을 찔렀다. 요약하자면 "가치있는 기업을 만든다는 것은 너무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사람은 모두 포기할 것이다. 그러므로, 당신이 하는 일을 진..

자기개발 2007.06.19

롱테일( Long Tail ) 법칙이란?

은행과 같은 곳에서는 파레토법칙에 중점을 두고 금융자산이 많은 고객들에게 집중하여 품격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온라인의 경우에는 롱테일법칙에 더 주목하고 있는 듯 합니다. 관련 글이 있어서 도움이 될까하고 올립니다. 롱테일 법칙과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롱테일(Long Tail) 법칙'이라는 단어를 아는 사람이 늘고 있다. 롱테일 법칙은 2004년 말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화제가 된 키워드다. 이 키워드가 의미하는 것은 '역(逆) 파레토 법칙'이다. 인터넷 서점 '아마존닷컴'은 사실상 무한대의 서적을 진열하고 있다. 현실 세계의 서점에서는 80대 20 법칙에 따라 잘 팔리는 20퍼센트의 책이 80퍼센터의 매출을 일으키므로, 서점 경영의 핵심은 '잘 팔리는 책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

자기개발 2007.06.19